-
기술통계
통계로 개념 이해하기
기술통계
-
데이터를 수학으로 기술하는 것
-
수치로 특징을 말하는 이유는 정확하기 때문
-
어떤 사실을 말할 때 높은 설득력
평균(mean)
-
모든 데이터를 끌어안고 무게중심을 지키는 평균
기호( Summation)
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.
-
모집답 vs 표본
-
모평균 vs 표본평균
-
모분산 vs 표본분산
-
모표준편차 vs 표본표준편차
-
기술통계에서 말하는 값들은 모두 표본에 해당하는 값
아웃라이어(outlier)
-
평균을 크게 변하게 만드는 값
-
아웃라이어를 찾기 위한 그래프 Box Plot
-
무조건 제거 대상이 아니라 1차적 분석대상
-
왜 발생했는지와 데이터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등 파악
중앙값(median)
-
outlier에 의해 데이터 대표값(평균등)이 많이 변하는 점 보완
-
[52, 52, 60, 64, 76] 중앙값 60 (n+1)/2 의 위치 값
-
[52, 52, 60, 62, 64, 76] 중앙값 61 n/2 와 (n+1)/2 의 평균값
범위
-
수치형 연속변수에서 최소값과 최대값 사이
-
범위는 특별한 의미를 가지는 경우가 별로 없음
-
아웃라이어등에 의해 범위가 커칠 수 있음 => 사분위범위 사용
사분위범위(IQR, Interquartile Range)
-
데이터를 25%, 50%, 75%, 100%에서 25% ~ 75% 값
-
값은 중앙값으로 구함
산포도 - 얼마나 퍼져 있는가?
분산과 표준편차
편차
-
자료값들이 특정값으로부터 떨어진 정도를 나타내는 수치
-
각 자료들이 평균으로부터 얼마나 떨어져있는지 그 거리(사실 '거리[거리는 양의 값만 가짐]'가 아니라 '차'입니다)를 보는 것
표준편차
-
통계량을 간단히 설정하기 위해 편차들의 대표값을 하나 설정
-
그 편차들의 대푯값을 설정하고 이를 표준(standard)로 이용
-
데이터들이 평균적으로 평균으로부터 떨어진 거리의 평균값
구하는 방법
-
각각의 자료값에서 특정값을 뺀 값의 절대값을 모두 더한 뒤 이의 평균을 구하는 방법 => 평균편차
-
각각의 자료값에서 특정값을 뺀 값의 제곱을 모두 더한 뒤 이의 평균을 구하는 방법 => 분산 => 표준편차
대푯값
-
대푯값은 편차를 최소로 만드는 값
-
평균편차 대푯값 => 중앙값
-
표준편차 대푯값 => 평균
산포도
-
자료값들이 대푯값으로부터 떨어진 정도
-
편차의 정의인 '자료값들이 특정값으로부터 떨어진 정도'에서 특정값 대신 대푯값을 넣으면 그것이 산포도
참고 편차들의 대표값으로 평균편차를 이용하지 않는 이유 편차란 각 자료들이 평균으로부터 얼마나 떨어져있는지 그 거리를 보기 위한 것 따라서 거리공식에 대입하여 자료값들이 평균값과 얼마나 떨어져있는지 평균적인 거리를 보아야 함 그래서 피타고라스 정리를 응용하여 만들어진 유클리드 거리(Euclidean distance)공식에 대입하여 평균낸 우리가 흔히 아는 표준편차 공식을 쓰는 것
표준화
-
각각 다른 집단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비교하기 위해 평균을 0으로 이동시키고 표준편차로 나주어 준다
z-점수란 무엇일까요?
-
z-점수는 자료가 평균으로부터 표준편차의 몇 배만큼 떨어져 있는지를 보여줍니다.
변동계수
-
평균과 표준편차가 다를 때 단수 얼마나 다른지 비율 만 확인
-
변동계수(V) = 표본표준편차(S) / 표본평규(x)
ex1)
-
몸무게 평균 63 / 표준편차 20 => 20 / 63 = 0.317
-
키 평균 175 / 표준편차 35 => 35 / 175 = 0.2
-
몸무게의 분포가 더 넗게 퍼져 있음
ex2)
-
A기업 평균연봉 3500 / 표준편차 250 => 250 / 3500 = 0.0714
-
B기업 평균연봉 4200 / 표준편차 180 => 180 / 4200 = 0.0428
-
A기업의 연봉이 더 넗게 퍼져 있음
공분산
-
변수가 2개일때 분산(공=함께)
-
X가 커지면 Y도 커지거나 혹은 작아지거나 아니면 별 상관 없거나 등을 나타내어 주는 것
-
Cov(X,Y)
-
Cov(X, Y) > 0 X가 증가 할 때 Y도 증가
-
Cov(X, Y) < 0 X가 증가 할 때 Y는 감소
-
Cov(X, Y) = 0 공분산이 0이라면 두 변수간에는 아무런 선형관계가 없으며 두 변수는 서로 독립적인 관계
-
두 변수가 독립적이라면 공분산은 0이 되지만, 공분산이 0이라고 해서 항상 독립적이라고 할 수 없다.
상관계수(Correlation)
-
상관계수의 절대값은 1을 넘을 수 없다.
-
확률변수 X, Y가 독립이라면 상관계수는 0이다.
-
X와 Y가 선형적 관계라면 상관계수는 1 혹은 -1이다.
-
양의 선형관계면 1, 음의 선형관계면 -1
독립 사건
-
사건 A가 사건 B에 영향을 주지 않는 상태(조건부 확률)
-
주사위 A 가 1 나올 때, 동전 B (앞면) 나올 확률?
배반 사건
-
사건 A와 사건B가 동시에
-
동전을 던저 앞면(T)이 나오면 뒷면이 나올 수 없다
R로 기술 통계 구하기
df <- read.csv('r-ggagi-data/example_studentlist.csv')
head(df)
name sex age grade absence bloodtype height weight 김길동 남자 23 3 유 O 165.3 68.2 이미린 여자 22 2 무 AB 170.1 53.0 홍길동 남자 24 4 무 B 175.0 80.1 김철수 남자 23 3 무 AB 182.1 85.7 손세수 여자 20 1 유 A 168.0 49.5 박미희 여자 21 2 무 O 162.0 52.0 # 평균 구하기 - NA 제거 후 mean(df$height, na.rm = T)
170.035294117647
# 중앙값 구하기 median(df$height, na.rm = T)
169.2
# 범위 구하기 range(df$height, na.rm = T)
- 155.2
- 182.1
# 사분위 구하기 quantile(df$height, na.rm = T)
- 0% 155.2
- 25% 165.3
- 50% 169.2
- 75% 176.1
- 100% 182.1
# IQR 구하기 IQR(df$height, na.rm = T)
10.8
# 참고) IQR을 구하는 알고리즘은 여러개임 IQR(df$height, na.rm = T, type = 7) # default IQR(df$height, na.rm = T, type = 5) IQR(df$height, na.rm = T, type = 3)
10.8
11.775
13.9
# 평균, 중앙값, Q1, Q3 한번에 보기 summary(df$height, na.rm = T)
Min. 1st Qu. Median Mean 3rd Qu. Max. 155.2 165.3 169.2 170.0 176.1 182.1
# Box Plot으로 보기 - NA 값 기본 제거함 boxplot(df$height)
# 상관계수 다루기 cor(df$height, df$weight)
0.664181597958861
# 좀 더 자세한 상관 관계 # 신뢰구간, p값 등이 나옴 cor.test(df$height, df$weight)
Pearson's product-moment correlation data: df$height and df$weight t = 3.441, df = 15, p-value = 0.003639 alternative hypothesis: true correlation is not equal to 0 95 percent confidence interval: 0.2696040 0.8677954 sample estimates: cor 0.6641816
# 3개 변수 상관 계수 cor(df[,c(3, 7, 8)])
age height weight age 1.0000000 0.3450992 0.5226855 height 0.3450992 1.0000000 0.6641816 weight 0.5226855 0.6641816 1.0000000 # 여러 변수 사용시의 결측치 # use 사용 | 좀 더 자세히 지정해야 함 df2 <- df df2[2,7] <- NA df2[4,8] <- NA
cor(df2$height, df2$weight)
<NA>
# na.rm = T 사용 불가 cor(df2$height, df2$weight, na.rm = T)
Error in cor(df2$height, df2$weight, na.rm = T): 사용되지 않은 인자 (na.rm = T) Traceback:
# use = 'complete.obs' == na.rm = T 모든 결측치 제거 cor(df2$height, df2$weight, use = 'complete.obs')
0.596680912660705
# use = 'pairwise.complete.obs' 상관계수를 만든 Peason 방식, 그 Vector 만 뺌 cor(df2$height, df2$weight, use = 'pairwise.complete.obs')
0.596680912660705
# use = 'everything' == na.rm = F Na 값 포함해서 처리 cor(df2$height, df2$weight, use = 'everything')
<NA>
# use = 'all.obs' 계산 자체를 안함 cor(df2$height, df2$weight, use = 'all.obs')
Error in cor(df2$height, df2$weight, use = "all.obs"): cov/cor에 결측치들이 있습니다 Traceback: 1. cor(df2$height, df2$weight, use = "all.obs")
# 분산과 공분산 구하기 var(df$height, na.rm = T)
61.6186764705883
var(df$height, df$weight, na.rm = T)
61.7906985294118
# 동일하게 use 사용가능 cov(df$height, df$weight, use = 'complete.obs')
61.7906985294118
cov(df[,c(3,7,8)], use = 'complete.obs')
age height weight age 1.367647 3.168015 7.244485 height 3.168015 61.618676 61.790699 weight 7.244485 61.790699 140.462426 # 표준편차 sd(df$height, na.rm = T)
7.84975645931696
scale(df$height)
-0.603240896 0.008243043 0.632466231 1.536952891 -0.259281180 -1.023636104 -1.889905017 0.874511957 1.078339937 0.772597967 -0.373934419 1.269428668 -0.998157606 0.772597967 -1.507727555 -0.182845688 -0.106410195 # 표준화 df_scale <- data.frame(df$height, scale(df$height), z_score=(df$height-mean(df$height)) /sd(df$height, na.rm = T)) df_scale
df.height scale.df.height. z_score 165.3 -0.603240896 -0.603240896 170.1 0.008243043 0.008243043 175.0 0.632466231 0.632466231 182.1 1.536952891 1.536952891 168.0 -0.259281180 -0.259281180 162.0 -1.023636104 -1.023636104 155.2 -1.889905017 -1.889905017 176.9 0.874511957 0.874511957 178.5 1.078339937 1.078339937 176.1 0.772597967 0.772597967 167.1 -0.373934419 -0.373934419 180.0 1.269428668 1.269428668 162.2 -0.998157606 -0.998157606 176.1 0.772597967 0.772597967 158.2 -1.507727555 -1.507727555 168.6 -0.182845688 -0.182845688 169.2 -0.106410195 -0.106410195 # 변동계수 - height sd(df$height) / mean(df$height)
0.0461654534727697
# 변동계수 - wehight - height 보다 더 많이 분산되어있음 sd(df$weight) / mean(df$weight)
0.194084035454233
'R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시각화 (0) 2020.07.07 기술통계 - 실전 예제 (0) 2020.07.07 데이터 개념 예제로 이해하기 (0) 2020.07.06 데이터 개념 이해하기 (0) 2020.07.02 R 필수 설치 패키지 (0) 2020.07.02 -